Surprise Me!

[현장 카메라]‘풍력발전기 소음’ 첫 배상…친환경의 그림자

2022-06-12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친환경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지만 진정한 ‘친환경’은 무엇일까요?<br> <br> 생각해 보게 하는 뉴스, 준비했습니다.<br> <br> 풍력발전소 주변에 사는 주민들이 그간 얼마나 고통스럽게 생활해 왔는지 우리가 미처 몰랐던 현실을 ‘현장카메라’에 담았습니다.<br> <br> 홍유라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제 뒤로 풍력발전기가 돌아가고 있습니다. <br> <br>주민들은 밤낮으로 소음 고통을 호소했고 정부는 처음으로 배상 결정을 내렸습니다. <br> <br>작은 마을에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인지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 <br>서해 바다를 끼고 농사와 어업으로 생활을 꾸려가는 전남 영광 창우 마을. <br> <br>마을 입구, 논 옆, 집 지붕 너머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 35대의 풍력발전기들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인접 거리가 한 500m 밖에 안 됩니다. (여기서 저거까지요?) 네네." <br> <br>풍력발전기는 잘 느껴지지 않는 초속 3미터의 약한 바람에도 미세한 소음을 발생시킵니다. <br> <br>[김구희 / 피해 마을 이장] <br>"(소음이 어떻게 느껴져요?) 바람이 불 때는 선풍기, 큰 대형 선풍기가 윙윙 이렇게. (그게 계속 들리는 거예요?) 그렇죠.위압감이 좀 들죠." <br> <br>주민들이 힘들어하는 소음에는 100헤르츠 이하의 저주파 소리도 있습니다. <br> <br>주로 '웅'하는 기계음이나 진동으로 느껴집니다. <br> <br>[김용희 / 피해 마을 주민] <br>"보통 비행기 뜰 때 윙 소리 나는 그런 거." <br> <br>[임은님 / 피해 마을 주민] <br>"잠을 못 자니까 수면제 사다놓고 산다니까 지금. (어떤 거요?) 수면제. 잠자는 약을 사다놓고. 그래도 안 돼. " <br><br>정부가 2개 마을에서 저주파 소음을 측정했는데, 최대 80데시벨을 넘겼습니다. <br> <br>사람이 받아들일 수 있는 기준인 45데시벨의 2배 가까운 수치입니다.<br> <br>[조만희 / 한국소음진동기술사회장] <br>"야간에 창을 열어 놓고 생활하신다고 가정했을 때는 층간소음보다 훨씬 더 괴로운 상황이라고 보면 되겠네요." <br> <br>발전기와 마을 간 거리도 소음 발생 원인 중 하나입니다. <br><br>환경부는 마을에서 1.5km 거리를 두고 풍력발전소를 설치하라고 권고하고 있지만 이곳은 500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.<br><br>환경부 분쟁조정위원회는 풍력발전 사업자에게 마을 주민들에게 가구당 최대 115만 원을 배상하라고 결정했습니다. <br><br>발전기 운영사 측은 소송을 포함해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풍력발전기 운영업체 관계자] <br>"결정된 건 없습니다. 검토하는 단계죠. 내부적으로 검토하는 단계라고 보면 됩니다." <br> <br>강원도 평창 태기산에서 돌아가고 있는 풍력발전기. <br> <br>1km 이내 거주하는 주민들이 소음 고통을 호소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정래 / 평창군 진조리 이장] <br>"아주 참 듣기 싫은 소리 그런 거예요. 배상 판결 난건 굉장히 환영합니다. 제가 볼 때는 그것도 부족해요. 1억 몇 천 그게 배상입니까." <br><br>2011년 33곳이었던 국내 풍력단지는 해마다 증가해 지금은 109곳에 달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친환경 대체 에너지인 풍력 발전에 대한 환경영향과 사업성 재평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홍유라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권재우 김민석 <br>영상편집 : 김민정<br /><br /><br />홍유라 기자 yura@donga.com

Buy Now on CodeCanyon